|배진건 칼럼| "펀치 드렁크 신드롬인데 왜 거기서 p-Tau가 나와?"     
|배진건 칼럼| "펀치 드렁크 신드롬인데 왜 거기서 p-Tau가 나와?"     
  • 디멘시아뉴스
  • 승인 2022.09.14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진건 박사(이노큐어 테라퓨틱스, 수석부사장)
배진건 박사.

1928년에 권투선수의 치매를 처음 서술한 해리슨 마트랜드(Harrison Martland) 박사는 '펀치 드렁크 신드롬(punch drunk syndrome)'이라 표현했다. 권투 치매는 권투선수들이 머리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타격이 유발요인으로 생각됐기에 '맞고 취한 증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권투선수의 전설인 무하마드 알리 또한 '펀치 드렁크 신드롬'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이에 따른 후유증으로 파킨슨병까지 앓았다.

더 최신의 전문 용어인 만성외상성뇌병증(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CTE)은 권투 외에도 반복적인 두부 손상(뇌진탕 등)을 경험한 미식축구(NFL) 프로 선수들과 프로 야구 선수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뇌가 손상될 수 있는 다른 분야의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가벼운 머리부위 손상을 경험한 일반인에서도 발생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CTE는 특히 몸싸움이 심한 NFL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직 NFL 선수 4,500여명이 뇌 충격 방지에 대한 노력 부족을 이유로 NFL 구단들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고, 2013년 8월 31일 7억 6,500만 달러(약 8,500억 원)의 보상금 합의 결정이 법원에서 내려졌다. 미국 프로 야구선수로는 처음 CTE 판정을 받은 라이언 프릴(Ryan Freel)은 2006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뒤 몸을 사리지 않는 허슬(hustle) 플레이로 명성을 떨쳤다. 내·외야를 모두 소화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펜스에 부딪치면서 공을 잡거나 관중석에 뛰어들어 공을 잡는 일이 흔했다. 프릴은 선수 시절 10~16차례 뇌진탕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고 안타깝게도 2012년 CTE 후유증으로 권총으로 자살했다.

CTE는 반복적인 뇌진탕을 겪고 수 년이 지난 후 발생하는 진행성 타우병증이다. 머리에 반복적으로 강한 외부 충격이 이어질 경우 뇌가 흔들리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에 영향을 미쳐 정보 전달 속도가 느려지거나 잘못 전달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전형적으로 중년에 증상이 발생하며 기억과 실행 기능을 담당하는 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장애를 보이게 되고 기억상실과 정서장애, 우울증 증상(프릴의 권총 자살처럼)이 나타나게 되고 나아가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병, 루게릭병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CTE는 사후에 부검을 통해 진단할 수 있는 병으로 생각됐다. 뇌를 기증한 미식축구 선수 200여명의 뇌를 사후 연구한 결과 거의 90%가 퇴행성 뇌질환의 하나인 CTE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진행한 보스턴대 CTE센터 연구진은 2017년 7월 5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에 발표한 논문에서 202명 가운데 177명에게서 CTE 질환의 증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의 87%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특별히 NFL 선수 출신 111명 중에서는 무려 110명(99.5%)이 이런 증세를 갖고 있었다.

한편 2019년 5월 2일 출간된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아직 생존하는 전직 NFL 선수들을 대상으로 'Tau Positron-Emission Tomography in Former National Football League Players'라는 논문이 발표됐다.

인지기능 저하와 정서 장애를 지닌 26명의 전직 NFL 선수들(40~69세)과 이들 나이에 상응하는 31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진행했다. 그 당시 아직 실험적 단계인 '플로타우시피르(Flortaucipir)'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플로베타피르(Florbetapir)'를 각각 주사한 후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기를 이용, 타우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를 추적해 두 단백질의 뇌 분포를 측정했다.

CTE에 영향을 주는 뇌의 3가지 다른 부위(bilateral superior frontal, bilateral medial temporal, left parietal)에서 뇌 기능에 이상이 있는 전직 NFL 출신 선수들의 뇌가 일반인의 뇌보다 더 많은 타우의 양이 검출됐고 반면 아밀로이드의 양은 비슷했다. 그러나 타우의 양과 인지기능 또는 정서장애 스코어 간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예외적으로 한 사람의 전직 선수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 보이는 정도의 높은 아밀로이드가 관찰됐다.

전문가들은 아직 반복적인 두부 손상을 경험한 사람에서만 만성외상성뇌병증이 발생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며, 또한 이러한 장애를 유발하는 데 필요한 손상 횟수와 힘의 정도도 명확하지 않다. 경미한 수준이라 하더라도 여러 번 뇌진탕을 경험한 선수의 약 3%에서 만성외상성뇌병증이 발생한다. 신경학적 검사상 고위피질기능 검사에서 주의집중, 언어, 기억 및 시공간 기능이 모두 감소돼 있었으며 반향언어와 의미 없는 말을 중얼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이미 'Tau PET'대신에 'Comparing Plasma Phospho Tau, Total Tau, and Phospho Tau–Total Tau Ratio as Acute and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Biomarkers'[JAMA Neurol. 2017;74(9):1063-1072. doi:10.1001/jamaneurol.2017.0655] 란 논문이 2017년에 발표되었다. 유행가 가사처럼 왜 거기서 pTau가 나와? 이 논문 이전에 CTE와 'p-Tau'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었다. 하지만 혈장의 'P-Tau'와 'Total Tau' ratio가 외상성 뇌손상을 가름하는 분명한 바이오마커인 것이 증명되었다.

외상성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은 퇴행성과는 다르게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당하는 뇌손상이다. 교통사고, 산업 재해, 스포츠 손상 등 각종 사고에 의한 외상성뇌손상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는 척수 손상과 더불어 뇌손상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다. 미국에서만 일년에 TBI 때문에 3천5백만 명이 응급실을 방문하고 28만명이 병원에 입원한다. 더구나 경미하다고 느껴 병원 방문을 하지 않는 사람은 셀 수도 없다.

TBI는 흔히 뇌 구조와 기능의 변화와 함께 사고와 기억 기능 저하가 뒤따라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TBI는 치매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TBI 환자와 알츠하이머 환자는 공통적으로 정상인보다 대뇌피질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뇌피질 두께가 얇아지는 것은 주의력, 기억력, 언어기능, 새로운 정보의 통합 기능,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 또 TBI 후 뇌의 회색질(gray matter)과 백질(white matter)에 나타나는 변화가 치매 환자의 경우와 유사하다.

CTE와 TBI는 무엇을 우리에게 알리려는가?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던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병변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열쇠를 쥐고 있는 건 아닐까? 알츠하이머에서 아밀로이드와 타우 병변을 다같이 관찰할 수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뇌에 외부적인 충격이 반복될 때 타우 병변은 먼저 진행되지만, 아밀로이드 병변은 관찰되지 않는다. 

아밀로이드와 타우 누가 먼저인가? CTE와 TBI는 타우의 병변만이 관찰된다는 점은 알츠하이머의 아밀로이드와 타우 이 두 유명한 병변이 인과관계도 있지만 특정 병리 조건에서는 확연히 분리된다는 아주 중요한 생리 현상을 시사한다. 

반면 타우를 없앤 치매 쥐 모델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존재하더라도 일반 치매 쥐에 비해 신경세포 사멸과 인지기능 저하가 현저히 감소해 아밀로이드 베타가 타우 병증을 통해 신경독성을 유발한다는 '아밀로이드 베타-타우 축(Aβ-Tau axis)'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Aβ)의 축적, 과인산화된 타우(Tau) 단백질 응집의 축적과 신경세포 및 시냅스의 소실이 알츠하이머병을 구분짓는 생물학적 마커이다.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되는 타우의 과인산화와 비정상적인 응집이 알츠하이머의 진행과 악화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이 여러 실험으로 밝혀지며 '아밀로이드 베타-타우 축'의 개념이 정립되었다. 

그러면 'p-Tau'의 뇌축적은 무엇을 나타낼까? 사람에게 나무의 나이테처럼 어려서부터 쌓인 뇌의 손상 상태를 알려주는 'Indicator' 노릇이 아닐까? 이 가설이 맞다면 인위적으로 'p-Tau'의 축적으로 인한 뇌손상을 유도하여 뇌의 노화를 촉진하는 행동들에 대한 예방이 시급하다. 

일반인의 경우 예를 들어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타면서 뇌를 보호하는 기구를 착용하는 것은 필수이다. 그리고 부모들은 어린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이 뇌를 단단한 물체에 부딪히는 습관적인 행동은 철저히 막아야 한다. 그런 인위적인 나쁜 습관이 'p-Tau'의 축적으로 인한 뇌손상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환자를 진단할 때에 이미 오랜 기간 진행된 병변을 현재라는 스냅샷을 택하여 알게 되기에 '시간의 축'이라는 인자를 자칫 빠뜨리기 십상이다. 알츠하이머나 치매와 같은 퇴행성뇌질환은 십수년 간 나쁜 방향의 병리현상의 결과물이기에 나이가 분명한 위험인자이다. 십수년의 시간의 축을 모두 분자생리학적으로 분석하기가 불가능하지만 'p-Tau181', 'p-Tau217'과 'p-Tau231' 측정을 통해 뇌의 손상을 고려한 현실적인 나이 증명이 가능하다. 여러분은 당신 뇌의 나이를 아십니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