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실종 느는데...지난해 배회감지기 이용률 2.9%
치매노인 실종 느는데...지난해 배회감지기 이용률 2.9%
  • 이석호 기자
  • 승인 2024.10.14 1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노인 실종 신고, 지난해 1만 4,677건...2019년보다 21%↑
장종태 의원 “신발깔창형 배회감지기나 스마트태그 도입 검토 필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 /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 /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최근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치매 노인 실종 건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위치 파악에 결정적 도움을 주는 ‘배회감지기’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실종 신고 건수는 2019년 1만 2,131건에서 지난해 1만 4,677건으로 2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실종된 치매 환자가 숨진 채 발견된 사례가 83건에 달했다. 실종자를 발견하는 데 평균적으로 걸린 시간도 2019년 8.0시간에서 지난해 8.2시간으로 늘었다.

우리보다 고령화가 앞선 일본에서도 치매 관련 실종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일본 경찰청 생활안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 치매 관련 실종자 수는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이후 가장 많은 건수인 1만 9,039건을 기록했다.

이처럼 배회 증상을 겪는 치매 환자의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배회감지기가 필수 장비로 꼽힌다. 배회감지기는 착용자의 위치 및 동선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해 둔 권역을 벗어나면 보호자 알림이나 위기상황 긴급호출 등이 전송되는 복지용구다.

기존에 실종 치매 환자 발견까지 8시간 이상 걸렸다면 배회감지기를 이용할 경우 1시간 안팎으로 단축될 수 있다.

하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과 인지지원등급으로 판정받은 수급자 중 배회감지기 이용자 비율은 2019년 4.6%에서 지난해 2.9%로 오히려 줄었다.

 

출처:장종태 의원실
출처:장종태 의원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치매 환자에 해당하는 수급자 14만 9,605명(5등급 12만 3,971명, 인지지원등급 2만 5,634명) 중 배회감지기 이용자는 4,293명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가장 이용률이 높은 지역은 강원도로 13.7%의 이용률을 보였다. 가장 이용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도로 고작 0.2%만 이용했다.

치매 환자 실종 접수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경기 모두 각각 1.7%의 이용률을 보여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를 냈다.

장종태 의원은 “치매 환자 실종은 환자의 생명이 걸린 문제로, 특히 매년 폭염과 한파가 심해지는 근래에 들어서는 실종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신속한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며 “신발깔창형 배회감지기나 도시 지역에는 스마트태그 같은 새로운 위치감지기를 도입하는 방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